베일성운(Veil Nebula)
유난히 기회가 적었던 2019년 밤하늘. 올 초에 입수한 STC Astro Duo 필터를 시험하고자 처음 가보는 강화도로 달렸습니다. 아프리카 돼지열병으로 인한 교량 진출입로의 방역으로 인하여 적잖은 이동시간이 소요되었지만 올 1월 이후 집 밖 첫 출사로 못내 설래며 천체사진촬영을 준비하였습니다.
Ha 와 OIII의 Duo Filter 에 최적화된 베일성운은 300초 원샷으로도 이미 괜찮은 세부구조를 보여주었습니다. 과하지 않게 하려해도 날카롭게 벼려진 성운의 끝단부는 충분히 만족스러웠습니다. 다만 저고도 위치에서 90~95%의 상대습도와 불청객 캠핑인의 불빛공격으로 인하여 얼룩과 빛번짐이 발생되어 원래의 성능을 끌어올리지 못한 사진인것 같아 아쉬움이 있습니다. 해발 500m 이상의 고도에서 주변에 직접광이 없는 곳에 가서 다시 시험해봐야 겠다며 다짐해보았지요.
결국 자정무렵 95%를 넘는 습도로 인하여 경통과 카메라에 줄줄 흐르는 물기와 함께 대부분의 사진을 폐기해야하는 아픔도 있었지만 오랜만에 별빛샤워는 또다른 한주를 시작하는 활력소가 되기에 충분했습니다. 새벽녘 제법 높이 올라온 오리온과 밝게 빛나는 시리우스는 덤이네요.
촬영일자 : 19.09.28 19:38~22:13
촬영장소 : 강화도
망원경(경통) : Canon EF 200 F 2.8 L (Photo at F4.2)
가대(적도의) : EQ6 Pro
카메라(CCD) : CDS-Astro 80D + STC Astro Duo Filter (2 inch)
촬영정보 : ISO1600 300s x 24EA, DSS, Photoshop
'Deep Sky & star Im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트성운 (IC1805, Heart Nebula) (0) | 2019.10.20 |
---|---|
안드로메다 은하 (M31) (0) | 2019.09.30 |
M3 : Messier 3 globular cluster (0) | 2019.06.24 |
오리온 대성운 트라페지움 살리기 (Great Orion Nebula,19.01.26) (0) | 2019.01.30 |
장미성운 Ha Image (NGC2237, Rosette Nebula 19.01.27) (0) | 2019.01.27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하트성운 (IC1805, Heart Nebula)
하트성운 (IC1805, Heart Nebula)
2019.10.20 -
안드로메다 은하 (M31)
안드로메다 은하 (M31)
2019.09.30 -
M3 : Messier 3 globular cluster
M3 : Messier 3 globular cluster
2019.06.24 -
오리온 대성운 트라페지움 살리기 (Great Orion Nebula,19.01.26)
오리온 대성운 트라페지움 살리기 (Great Orion Nebula,19.01.26)
2019.01.30